


일러두기
일러두기
- ‘연세 한국어 I’은 한국어를 배우는 성인 교포와 외국인을 위한 기초 단계의 책으로 초급 단계에서 막 입학해야 할 주제를 중심으로 쉽고 이해하기 쉽게 필수적인 어휘와 문법, 문화와 사고방식을 소개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고자 하였다. 내용은 총 10과의 의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파트는 4개의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다.
- ‘연세 한국어 I’에는 8명의 주요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이 등장인물들의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흥미로워 학습 내용을 구성하였다.
- 교재의 구성은 각 제목과 함께 파트의 내용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제시하였는데, 목표는 각 책의 제목과 어휘, 문법, 과제, 듣기 등을 제시하며 각 과에서 다룰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하기 쉽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은 학습자들이 처음으로 접하는 ‘영어로 봅시다’ 라는 이름으로 그 과에서 다룬 어휘, 문법, 기능 등을 복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읽어 봅시다’ 에는 본문 학습에 나오는 대화의 내용을 어려운 문장을 활용한 다양한 상황이 연출된 상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 학습 후 각 파트의 내용과 관련한 내용을 토대로 ‘주제로’, ‘읽고’, ‘들으며’, ‘말하기’ 등의 내용을 ‘한국 문화’라는 이름으로 한국의 여러 이민 한국 문화의 문화를 가볍게 설명하는 파트도 더했다.
- 각 파트의 제목은 주제와 해당되는 명사로 제시되었으며, 각 챕터의 제목은 문맥, 대화, 언어, 듣기 지문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 학습 목표는 학습자들이 학습해야 할 학습 기능 및 대화, 문법, 어휘를 제시하였다.
- 본문 전반에는 각 과의 주제와 관련된 가장 직접적이고 대표적인 대화와 상황을 설정하였고 노력하는 대화, 편지 대화 상황을 지므로 각 단락의 설정되었다. 파트별 3페이지마다 학습자의 무단조를 포함하여 4개의 대화로 구성되었고 42페이지부터는 6개의 문장, 3개의 대화로 구성되었다.
- 이치는 각 과의 주제나 토픽과 관련된 어휘 목록을 복습할 제시 하였으며, 본문에 나오는 새 단어는 각 과의 말미파트로 구성하여 제시 하였다. ‘연세 한국어 I’ 예시 단어는 약 35개 정도이다.
- 문법 연습은 각 과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문법 설명으로 기본적으로 2개 정도로 간단한 핵심 문법의 합체시적이며 모범적인 설명에 대한 설명서에서 제시하였다.
- 과제는 특수 목표로서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에 부합되는 것으로 각 엄마 대비 교재 제시 하던 대화 연습과 민형 연습을 연계하여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읽기 기능별 취득 시 학습 효과를 높인 다양한 유형의 연습을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 각 과의 마지막 부분에는 대화 번역과 문법 설명을 제시하였다.
- 문화 파트는 각 과의 불평분해 살았던 재미있을 한국의 문화의 간략한 설명을 하는 식은 물론 복습한 심어할 수 있는 간단한 배려 하였었다. 또, 자기. 너희의 문화의 비교하거나 당신의 경우를 탐색하는 통치 지식에 그치지 않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책인에서는 각 과에서 다른 이점을 가짐으로써 정리하였으며 본문에서 제시된 통합을 함께 제시 하였다.
차례
차례
1-1
- 머리말 _ii
- 일러두기 _iv
- 내용 구성 _viii
- 등정인물 _xvii
- 제1과_인사 ………………………………………………………………………….. 01
- 제2과_학교와 집 ………………………………………………………………….. 31
- 제3과_가족과 친구 ………………………………………………………………. 69
- 제4과_음식 …………………………………………………………………………… 105
- 제5과_하루 생활 …………………………………………………………………… 143
- 듣기 지문/색인
1-2
- 머리말 _ii
- 일러두기 _iv
- 내용 구성 _viii
- 제6과_물건 사기 …………………………………………………………………… 183
- 제7과_교통 …………………………………………………………………………… 221
- 제8과_전화 …………………………………………………………………………… 263
- 제9과_날씨와 계절 ……………………………………………………………….. 299
- 제10과_휴일과 방학 ……………………………………………………………… 337
- 듣기 지문/색인
내용 구성
내용 구성
| 직책 | 스킬 | 격려 | 어휘 | 본문 | 문화 |
| 01 인사 | 안녕하십니까? | 이름 말하기 | 이름 | 입니다. 은/는 | 한국인의 인사 예절 |
| 어느 나라 사람입니까? | 국적 말하기 | 나라 이름 | 입니까? | ||
| 회사원이 아닙니다 | 직업 말하기 | 직업 이름 | 이/가 아니다 | ||
| 반갑습니다 | 인사 나누기 | 물건 1 | ~습니다. ~습니까? | ||
| 02 학교와 집 | 이것이 교과서입니까? | 물건 이름을 말하기 | 물건 이름 | 이/가, 이, 그, 저 | 주말에 집안 한곳 |
| 있어도 있습니까? | 교실 물건 말하기 | 교실 이름, 이름 | 도, 있다, 없다 | ||
| 은행에 어디에 있습니까? | 학교 시설물을 위치 말하기 | 장소 명사, 위치 관련 어휘 | 에 | 한국의 위치와 크기 | |
| 몸이 어디입니까? | 집 위치 말하기 | 장소 이름 | 하고 | ||
| 03 가족과 친구 | 가족 사진을 찍습니까 | 친구를 하고 있는 일 말하기 | 동사 2 (~하다) | 음/몸 | 호칭 |
| 부모님은 어디에 계십니까? | 가족 소개하기 | 가족 명칭, 존대어 위, 수 1 (하나-둘) | ~으시- | 아버지와 이웃집 | |
| 공기도 좋고 조용합니다 | 고향에 관해 말하기 | 명사 2 | ~고 | ||
| 04 음식 | 저는 불고기를 먹고 싶습니다. | 음식 고르고 권하기 | 음식 이름 | ~고 싶다, ~겠-. | 한국의 식사 문화 |
| 식당에 갑니다 | 식당에 가기 | 가다, 오다, 속팅 관련 어휘 | ~읍시다 | ||
| 무슨 음식을 좋아하십니까? | 좋아하는 음식 말하기 | 음식 종류, 말 관련 어휘 | ~지 않다, 무슨, 큰 음식 | ||
| 05 하루 생활 | 지금 몇 시예요? | 시간 말하기 | 수 3, 시간 | 까지, ~어요 | ‘신이 나’와 ‘하나둘셋’, |
| 요일이 몇 월 며칠이에요? | 요일과 요일 말하기 | 날짜, 요일 | ~어요?, ~으세요 | ||
| 일기 쓰던 일에 일어나요 | 일상생활 말하기 | 동사 3 | 예, 무기 ~까지, ~고 | 손가락으로 숫자 세기 | |
| 친구가 무엇을 했어요? | 과거 시제 (적응) 말하기 | 시간 관련 어휘 | ~었-, ~았- |
Dialogue
Rie: Hello.
Wei: Hello.
Rie: I’m Rie.
Wei: I’m Wei.
문법 설명 (Giải thích Ngữ pháp)
01 입니다
‘입니다’ is attached to the end of a noun to make the noun function like a verb. It is used to express the identity or state of a subject, or to designate an object. “입니다” is used to politely speak to the listener.
- 이것은 제 책상입니다.
This is my desk. - 저는 학생입니다.
I am a student. - 이 아이가 제 딸입니다.
This child is my daughter. - 여기가 우리 집입니다.
This is my house. - 그분은 의사입니다.
That person is a doctor.
02 은/는
This particle is used with a noun to denote the topic or theme of a sentence. When the noun ends in a consonant, use ‘은’. When the noun ends in a vowel, use ‘는’.
- 서울은 한국의 수도입니다.
Seoul is the capital city of Korea. - 저는 한국 사람입니다.
I am Korean.
Hangeul
1.1 Hangeul, the Korean alphabet, was invented in the 15th century by King Sejong and other scholars. King Sejong wanted to raise his people out of illiteracy so he invented letters that were easy to learn and use. When it was first invented, there were 17 consonants and 11 vowels. The alphabet has been reduced to 24 letters in the modern era : 24 letters in all, 14 consonants and 10 vowels. the consonants of Hangeul represent the shape of the mouth when the letter is pronounced. The vowels are based on the three orders of heaven, earth and ma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Yim and Yang (the cosmic dual forces). Hangeul is a set of phonetic symbols that incorporates sounds from Man as well as sounds from nature. Among the many alphabets of the world, Hangeul is known for it’s scientific and systematic features.
1.2 To produce a syllable, consonant and vowel must be combined together, as follows:
| V | + | 아 | |
| CV | + | 비 | |
| CVC | + | + | 받 |
1.3 Phonetically, there are monophthongs and diphthongs in Korean vowels. For monophthongs, the lips and tongue do not move while articulating s sound, regardless of how long a speaker pronounces it. Monophthongs vary in the position (front/back and high/low) of the tongue and the degree to which the mouth is opened. There are 10 monophthongs: ㆍ,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Dipththongs are vowels in which there is a change in sound during pronunciation, such as [wa]. There are 11 diphthongs: ㅘ, ㅙ, ㅝ, ㅞ, ㅚ, ㅟ, ㅢ, ㅑ, ㅕ, ㅛ, ㅠ.
| Position of tongue | Front | Mid | Back |
| Shape of mouth | Unrounded / Rounded | Unrounded / Rounded | Unrounded / Rounded |
| Height of tongue | High | ㅣ (ㅣ) | |
| Central | ㅔ (ㅔ) | ㅗ (ㅗ) | |
| Low | ㅐ (ㅐ) | ㅜ (ㅜ) |
1.4 Consonants differ in the position and way of producing the sound.
| Manner of articulation | Place of articulation | bilabial | alveolar | alveolo-palatal | velar | glottal |
| simple | ㅂ | ㄷ | ㅈ | ㄱ | ㅇ | |
| voiceless | plosive | ㅍ | ㅌ | ㅊ | ㅋ | |
| ㅃ | ㄸ | ㄲ | ||||
| affricate | ||||||
| simple | ㅁ | ㄴ | ㅇ | |||
| voiced | nasal | |||||
| liquid | ㄹ |
2.1 The stroke of a vowel is “ㅣ” or “ㅡ”. The order of writing is from top to bottom, and from left to right.
When a vowel has a vertical stroke (ㅣ), the consonant is placed to its left. When a vowel has a horizontal stroke (ㅡ), the consonant is placed on top. When the first sound is a vowel, the consonant ‘ㅇ’ (which is silent), is placed on the left side or above the vowel.
| Letter | Sound value | Writing method |
| 아 | a | ㅇ + ㅏ |
| 야 | ya | ㅇ + ㅑ |
| 오 | o | ㅇ + ㅗ |
| 요 | yo | ㅇ + ㅛ |
| 우 | u | ㅇ + ㅜ |
| 유 | yu | ㅇ + ㅠ |
| 어 | eo | ㅇ + ㅓ |
| 여 | yeo | ㅇ + ㅕ |
| 으 | eu | ㅇ + ㅡ |
| 이 | i | ㅇ + ㅣ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