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ục lục
Toggle


머리말
경희대학교는 2014년에 한국어 교육에 새로운 지평을 연 한국어 기능 분리형 교재 읽기(1급1단계)를 출간하였습니다. 한국어 통합 교재는 네 가지 언어 기능이 통합적으로 제시됨으로써 글자를 읽거나 단어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이 유기적으로 제시되지 못할 경우 어느 한 가지 기능에 집중하거나 언어가 실제로 사용되는 환경을 제대로 담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그간의 한국어 교육 현장은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이 중심이 되면서 교수 시사나 읽기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거나 이러한 기능에 보고서를 보조하는 수단으로 인식하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어 기능 분리형 교재는 네 가지 언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제시하며 학습자가 해당 언어에 초점을 맞춰 언어 학습을 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학습자의 측면에서는 2014년도에 발간된 한국어 통합 교재와는 다르게, 네 가지 언어 기능을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즉, 한국어 학습자가 각 언어 기능별로 세분화된 학습 계획을 세우고, 해당 언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로 인해 각 언어 기능에 대한 전문화된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한국어 기능 분리형 교재는 네 가지 언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제시하며 학습자가 해당 언어에 초점을 맞춰 언어 학습을 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학습자의 측면에서는 2014년도에 발간된 한국어 통합 교재와는 다르게, 네 가지 언어 기능을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즉, 한국어 학습자가 각 언어 기능별로 세분화된 학습 계획을 세우고, 해당 언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로 인해 각 언어 기능에 대한 전문화된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고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기능 분리 교재는 처음 시도되는 바, 부족하거나 복잡한 바를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언어 기능 분리를 시도하였으나 각 기능별 유기적인 연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난이도, 빈도 등을 고려하여 문항과 어휘를 배열하였습니다. 특히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국제 표준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 기반하여 언어의 요소와 의미 기능을 배치하여 한국어 교육의 표준적인 내용을 담아내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기능(functions)과 주제가 단출히 나열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 또는 통합적으로 지도를 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도록, 사진, 삽화 등을 배치를 하였습니다.
경희대학교는 앞으로도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 교육 환경 개선 등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한국어 기능 분리형 교재 읽기 1이 나오기까지 노력과 수고를 아끼지 않은,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 교육진들에게 감사를 드리며 이 교재가 학습자와 교수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17년 3월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원장 조연홍
Preface
Get It Korean is the second series of Kyung Hee’s Korean language textbooks since the publication of Kyung Hee’s first series 17 years ago. This beginning level series provides five comprehensive and interconnected volumes consisting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grammar. In the recent past, with the popularity of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Korean educators placed heavy emphasis on oral communication and somewhat neglected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these volumes, we aim to help learners develop four language skills in a balanced manner.
While we take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four language skills, the materials are presented in separate language areas in order to shape our materials to our students’ specific language needs. Learners lacking in any one of the language skill areas will be able to focus their language study on the areas of their need. Within each volume, we made efforts to integrate four language skills. Grammar and vocabulary are presented progressively based on frequency of use and the level of difficulty. The language elements, functions, and tasks are created in reference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s a frontier of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will continue to improve and adapt our materials in order to maintain our high standard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Finally, I would like to give thanks to all the contributors who made this book possible.
Hyun-Yong Cho
Dean of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일러두기
이 책은 언어 기능(skills) 분리형 교재. 읽기 1단계 교재이다.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정형적이거나 준정형적인 어휘(vocabulary)와 표현(expression)을 제공함으로써 자주 접하는 단어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단어를 쉽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s part of the Get It Korean series, this volume is a beginning level textbook focusing on reading skills. This volume provides the basic vocabulary or expressions of daily life aiming to help learners understand simple real life texts such as street signs, public notices/announcements, and simple messages.
읽기
교재의 단원은 ‘도입’ 단원(Part1, Part2) → 더 읽어 봅시다 → 한국의 문화 → 생각해 봅시다 → 마무리’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단원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입
- 단원에서 제시하는 글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지도를 학습 목표로 기술한다.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writing in the chapter. - 단원에서 배운 어휘의 표현을 학습하고 익히게 되는 지도 학습 목표를 제시한다.
The chapter topics and related aspects of Korean Culture are clearly expressed. - 주제와 관련이 있는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또한 단원의 목표를 제시한다.
[이미지: 작업자들이 헬멧을 쓰고 건물을 짓는 삽화]
쉽게 사진을 배경으로 한 삽화를 통해서 해당 단원에서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Background pictures induce students to learn easily through illustrations related to the chapter content.
[이미지: 책 페이지 일부와 여러 아이콘, 그래픽 요소를 모아놓은 사진]
10개의 단원을 독자적인 도해가 있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You can enjoy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progress by reaching 10 successive learning destinations.
어휘
어떠한 활동을 통해 어휘의 의미와 쓰임을 학습하며 관련 어휘를 익히는 지도를 통해 학습 목표를 제시한다.
Vocabulary activities provide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meaning and use of the words.
읽기 활동
읽기 활동을 통해 어휘의 의미와 쓰임을 익히는 지도를 통해 학습 목표를 제시한다.
Reading Activities are presented in order to ensure reading comprehension of a variety of situations related to the chapter topic.
[이미지: 여러 가지 건물 이미지, 간판 이미지, 표지판 이미지 등이 포함된 사진]
학습자가 필요한 어휘를 익힐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을 두었습니다.
The purpose is to help learners acquire necessary vocabulary.
[이미지: 한국 문화 관련 사진 및 텍스트가 담긴 책 페이지 일부]
학습자에게 필요한 읽기 전략을 이해하게 돕는 데 도움을 줍니다.
Helps learners understand necessary reading strategies.
일러두기 (계속)
본문의 어휘의 의미를 학습자의 언어로 재미있게 설명하며, 이른 시기에 받는 반박성으로 도움을 줍니다.
Vocabulary terms explained in the learner’s native tongue so as to remove learning impediments.
문제를 통해 학습한 스크린의 이해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Through practice questions the learner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comprehend the chapter.
더 읽어 봅시다 (Let’s Read More)
다시 읽어 보십시오. 자주 접하는 다양한 유형의 읽기 텍스트를 읽기 활동으로 제시하여 읽기 텍스트를 전통적인 읽기 텍스트로 한 번 더 제시할 수 있습니다.
Let’s Read Again to reinforce reading in various forms, the reading material is presented again in traditional text forms.
더 읽어 봅시다 (Extended Reading)
확장된 읽기 활동으로 조금 더 실제적인 읽기 자료를 제시합니다.
Extended reading activities provide more realistic reading opportunities.
한국의 문화
주제에 맞는 핵심적인 한국 문화 사진과 그림 등의 시각 자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You will be able to use to engage in more broadly perspective on diverse cultures through activities introducing your own culture.
문화 학습 자료는 다양한 사진과 더불어 한국 문화 전반에 걸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Learning materials for culture contain content across Korean culture along with various photos.
학습자 입장에서의 문화적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enjoy a broadened perspective on diverse cultures through activities introducing your own culture.
학습한 글에 대한 이해도를 스스로 점검하고 대답하는 활동을 연습합니다.
You will be able to assess your progress by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부록 (Appendices)
본문(모범 답안), <어휘 색인>, <표현 색인>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모범 답안>은 본문의 내용을 그대로 수록함으로써 학습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어휘 색인>과 <표현 색인>에는 본문에 출현한 어휘와 표현을 가나다순으로 반영하여 함께 제시하여 초급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s section are as follows: Answers, Vocabulary Index, Expression Index. The Answers section corresponds to the chapter material for ease of use. The Vocabulary Index, The text vocabulary in alphabetical order with translation included for ease of use by beginning learners.
교재 구성표
| 단원 | 단원명 | 과제 |
| 1 | 이름 1 | 사물 이름 |
| 외래어 | ||
| 2 | 이름 2 | 장소 이름 |
| 그림 문자 | ||
| 3 | 소개 | 가족 소개 |
| 동아리 소개 | ||
| 4 | 학교생활 | 우리 학교 |
| 수업 공지 | ||
| 5 | 장소 | 학생 식당 |
| 도서관 공지 | ||
| 6 | 일상생활 | 일상생활 |
| 주말 | ||
| 7 | 물건 | 소지품 |
| 휴대 전화 | ||
| 8 | 음식 | 한국 음식 |
| 메뉴판 | ||
| 9 | 교통 | 대중교통 |
| 교통 안내 | ||
| 10 | 쇼핑 | 쇼핑 정보 |
| 쇼핑 방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