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 1
경희한국어
초급1 읽고 쓰기
ENGLISH VERSION
초판 1쇄 인쇄 2019년 12월 10일
초판 1쇄 발행 2019년 12월 17일
지은이 유혜진 권수현 김영은 명덕숙 박승욱 유수정 이지영 허나래 서진숙 홍윤기
옮김이 Jenny Park
펴낸이 배영국
펴낸곳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주소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전화 02-561-0106~8
팩스 02-561-0291
설립 1960년 9월 16일 제5-8호
등록 1977년 11월 8일 제6-5호
홈페이지 www.khupress.com
전자우편 press@khu.ac.kr
ⓒ경희대학교, 2019
ISBN 978-89-8222-645-8(14700)
978-89-8222-641-0(14700) 세트
- 이 책에 사용된 모든 자료는 출처 및 저작권을 확인하고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사용하였습니다.
누락된 부분이 있으면 이후 확인 과정을 거쳐 보완하겠습니다. -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복제와 복제를 금지하며, 이 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제작권자와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의 서면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머리말
KYUNG HEE UNIVERSITY
경희한국어 초급1 읽고 쓰기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은 1993년에 한국어교육 과정을 개설한 이래 학습자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 국제교육원과 출판문화원은 그동안 협동하여 『한국어 Exploring Korean』 (혼지 공부하는
한국어 Exploring Korean Workbook)을 출간한 바 있다. 그리고 이번에 그간의 교수 학습의 성과를 기초로 하여
『경희한국어』를 새롭게 출간한다.
이번에 출간하는 한국어 교재 『경희한국어』 ‘첫걸음’, ‘초급1 문법’, ‘초급1 듣고 말하기’, ‘초급1 읽고 쓰기’, ‘초급2
문법’, ‘초급2 듣고 말하기’, ‘초급2 읽고 쓰기’이다. 핵심 문법 항목의 체계적인 학습을 위해 문법을 따로 만들었으며 ‘듣고
말하기’와 ‘읽고 쓰기’는 기능 교육의 유기적 통합을 지향하였다. 각 교재에는 영역 번역을 받아 학습자의 이해를 돕겠다.
‘첫걸음’은 입문하는 학습자가 쉽고 빠르게 한국어 지식을 익히고 학습 구조를 이해하도록 만들었다.
‘문법’은 학습자가 반드시 익혀야 할 문법 항목을 위주로 학습 내용들을 채웠다. 연습문제와 과제를 넉넉히 제시하여 해당
문법의 의미와 기능을 익히도록 하였으며 적절한 상황을 제시하여 문법 활용을 통하여 말하기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듣고 말하기’는 주제와 관련된 듣기 활동과 말하기 활동이 긴밀하게 연계되도록 구성되었다. 주제에 따라 듣기와 말하기
활동을 균형하게 배치하거나 어느 한 기능을 강조하여 강화할 수 있도록 연습 활동들을 배치하였다. 또한 주제별 대화와
학습자가 눈과 귀로 이해하고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비디오클립으로 제작되어 교재에 담았다.
‘읽고 쓰기’는 주제에 따른 읽기 활동과 쓰기 활동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학습자 수준에 부합하는 읽기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한국어 텍스트에 대한 분석 능력을 키우도록 하였다. 더불어 읽기 텍스트를 모방하는 쓰기 활동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자신의 문학적 배경, 경험, 지식 격차를 충분히 발현하여 쓰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쓰기 과제를 구성하였다.
『경희한국어』 출간에 맞춰 국제교육원은 경희사이버대학교와 함께 온라인 한국어 강좌도 개발하였다. 학습자가
『경희한국어』 온라인 강좌를 자율적으로 학습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아울러
학습자가자율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지로 성장해 나가도록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모바일 LMS를
미래하였다.
마지막으로 남지 않았다. 집필팀과 출판문화원 직원분들께 고마움을 전한다. 이분들의 헌신이 없었다면 이 교재는
세상에 나오지 못했다. 교재 발간 시점에서 마무리까지 이분들의 손길이 가득하다. 아울러 『경희한국어』 출간을
뜰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주신 학교 관계자들에게도 깊이 감사드린다.
2019년 12월
경희대학교 교학처장
위원장 홍윤기
Preface
KYUNG HEE UNIVERSITY
경희한국어 초급1 읽고 쓰기
Kyung Hee University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IIE) has strived to help learners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a fun way since it launched its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1993. IIE and Kyung Hee University
Press previously collaborated on Korean: Exploring Korean and Korean: Exploring Korean Workbook. We are
publishing a new version of Kyung Hee Korean, updated based on our recent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IIE is publishing seven companion volumes: Kyung Hee Korean ‘First Step’, ‘Beginner 1 Grammar’, ‘Beginner
1 Listening and Speaking’, ‘Beginner 1 Reading and Writing’, ‘Beginner 2 Grammar’, ‘Beginner 2 Listening
and Speaking’, and ‘Beginner 2 Reading and Writing’. This separation of the systematic learning of essential
grammatical features from other language skills is in line with functional approaches to learning.
The first volume, ‘First Step’, is aimed at quickly equipping new learners with a solid understanding of Korean
consonants, vowels, and syllable structures.
The Grammar volumes contain the grammatical structures that learners will acquire at each of the two
Beginner levels. Exercise questions and assignments are provid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target structures
and their functions, and realistic scenarios are also provided to enable them to practice speaking using such
structures.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volume,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opics of the speaking activities being the content acquired through listening. Depending on the precise topic,
these two skills can be given equal weight, or one can be emphasized more. Various realistic situations are
provided to help learners apply their understanding, and they are accompanied by video clips that have been
designed to deepen such understanding.
The Reading and Writing volume integrates the two skills organically. Appropriate reading materials are provided
to help readers achieve the general goal of Korean literacy development.
IIE has also developed a series of online Korean lectures in collaboration with Kyung Hee Cyber University,
aimed at ‘facilitating learners’ independent study of Korean, and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their accuracy
and fluency. Additionally, the institute offers systematic and efficient mobile-based LMS to help learners go
beyond passive learning and become active and passionate learners.
Lastly, we would like to thank Kyung Hee Korean editorial board and Kyung Hee University Press faculty and
staff. Without their dedication at all stages of the development and publication process, this textbook would not
have come to fruition. We would also like to extend our gratitude to the administration of Kyung Hee University
for their generous support.
December 2019
Kyung Hee University Kyung Hee Korean Textbook Publishing Committee
Committee Chair, Yunki Hong
일러두기
KYUNG HEE UNIVERSITY
경희한국어 초급1 읽고 쓰기
경희한국어 초급은 한국어를 배우려는 성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6단계 중 첫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교재이다. 이
책은 경희한국어 초급 읽고 쓰기 교재로 초급 단계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주제와 상황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실제적이고 다양한 연습과 활동을 구성하였다. 또한 어휘와 문형을 기반으로 하여 읽기와
쓰기 진행하는 수형적인 요소를 구성하였으니, 본문 읽기와 쓰기는 하향식 교수법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주제 찾기 와 같은
활용을 우선적으로 배치하였다. 이 책을 통해 학습자는 한국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한국어 문어를 익힐 수 있으며
한국어 기본 의사소통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주요 특징
- 이 교재는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적용하며 알아야 하는 상황을 중심으로 총 9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 각 단원은 읽고 쓰기 연계 구성이 되며 단원 내용에 따라 읽기와 쓰기의 비중이 다르다.
- 한 단원은 두 개의 과로 구분되며, 단원 구성은 단원의 대목, 제, 제복, 기로 어휘, 일기, 쓰기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단원의 제시 순서는 읽기 도입, 읽기 전 어휘 활동, 읽기 전 문형 활동, 읽기, 읽은 후 활동, 쓰기, 쓰기 전 문형 활동,
쓰기, 어휘 정리, 새로 나온 어휘로 구성되어 있다. - 본문 읽기의 주제는 고향의 주요 등징인들이 한국에서 경험하는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텍스트의 유형을
다양화하였다. - 본문 읽기는 학습자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짧은 문장 구성서 긴 글로 진행되며, 길이나 난이도를 조절하였다.
- 읽기와 쓰기는 연계되도록 학습 문형 18개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읽기 부분에서 핵심이 되는 어휘에 문형에
하이라이트을 토시하였다. - 본문 쓰기의 경우, 읽기 내용을 쓰기 전 활동이 되도록 구성하여 학습자가 쓰기 내용을 구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
하였다. - 본문 쓰기는 일기, SNS, 블로그, 동영상 플랫폼 댓글 등 실제 상환을 학습자가 조금의 뷰티에서 쓰기에 흥미를
갖도록 하였다. - 어휘는 본문 읽기 및 쓰기 활동과 관련된 어휘 목록으로 제시하였으며, 새 단어가 나오는 경우 해당되는 영역 마로 새
단어를 번역과 함께 제시하였다. 이 교재에서 제시하는 어휘는 약 450개다. - 문법은 비평형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경희한국어 초급 1 문법 1 교재에서 읽고 쓰기 기능으로 연계되는 문법을
제시하였다. - 정리해 봅시다 에서는 배운 어휘와 표준급 단어 정리를 할 수 있도록 어휘장으로 구성하여 단어를 함께 제시하였으며,
새로 나온 어휘는 본문의 어휘가 아니므로 별도로 제시하였다. - 활용은 읽고 쓰기가 실제성 있는 과제로 진행되도록 학습자가 자주 이용하는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더불어 읽기 자료를 보완하고 좀 더 심성성 있는 읽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추가로 활용하였다.
- 어휘 색인은 가나다순으로 정리 하였으며 반여와 함께 제사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