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간사
최근 전 세계인이 접하는 한류 콘텐츠의 규모가 늘어나면서 한류 문화가 확산되고, 그 결과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수가 매우 놀랍습니다. 세계 곳곳이 코로나19로 침체를 겪었던 2021년에도 한국능력시험 응시자는 30만 명을 훌쩍 넘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의 세종학당은 2007년 13곳에서 2022년에는 84개국 244개소로 확대되어 전 세계 곳곳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소개하며 한국어 보급 대표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있습니다.
한류 콘텐츠와 함께 성장하는 한국어 교육의 토대를 다지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2011년 처음 발간된 《세종한국어》를 세어로 다듬기로 하였습니다. 2019년부터 또한 기존 연구를 시작한 교재 개정 작업은 3년의 시간을 들여, 2022년도에 새로운 《세종한국어》를 개발하게 되었고, 이를 세종학당재단과 함께 알리게 되었습니다.
새롭게 개정된 《세종한국어》는 첫째, 세종학당 곳곳에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열의로 가득 찬 외국인 학습자의 중심의 교사를 지향하였습니다. 둘째, 현지 세종학당의 학습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교재로 정비되었습니다. 셋째, 한류 콘텐츠에 대한 외국인들의 관심을 반영하여 한국어 학습의 흥미를 극대화 하였습니다. 한국어 학습에 부담 없이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학습에 대한 부담을 낮추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종학당을 대표하는 표준 교재로서 구심점 역할을 담당하고, 이후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연계성도 잘 갖추었습니다.
세종학당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로 한국과 세계를 연결하는 대한민국 대표의 한국어 교육 기관입니다. 국립국어원과 문화체육관광부는 앞으로도 세종학당 재단과 협력하여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랑하는 이들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깊은 교재 개발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주신 연구·집필진과 출판사 관계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세종한국어》의 새로운 출발과 함께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 세종학당재단이 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과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2022년 8월
국립국어원장 장성현
머리말
세종학당은 한국과 전 세계를 연결하는 한국-한국 문화 보급 기관입니다.
이번에 개발한 교재는 상호 문화의식에 기반한 한국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증진함으로써 한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최근 한국의 상상을 반영적으로 반영하였고 최신 교수를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과 디자인을 적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국외 한국어 교육의 방향성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전반적인 《세종한국어》의 구체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세종학당의 표준 교육 과정 및 가형, 나형, 다형 전 과정에 탄력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본 교재’와 ‘하기 활동’ 교재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습니다. ‘기본 교재’에는
해당 등급에 필요한 핵심적인 내용을 담았으며, ‘하기 활동’ 교재는 실제 학습의
실질적인 활동과 연계하여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둘째,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단원별 단원 구성을 차별화하며 학습 내용 또한 언어 발달 단계에 맞는 교수 학습 전개와 적용을 적용하였습니다. 특히 다양한
심화와 시각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시하여 한국어 학습의 흥미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셋째, 교재 전반에 생성된 한국 문화 내용을 배치하여 학습자들이 상호 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궁극적으로는 자국의 문화와 한국 문화에 대한 바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넷째, 교재와 함께 ‘익힘’, ‘교사를 지도서’, ‘어휘·표현’과 문법, 수업, PPT와 같은 보조 자료를 개발하여 교사·학습자의 요구에 맞게 교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교재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모든 과정에 함께 해주신 국립국어원과 현지
학당들의 협조와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세종학당 재단, 그리고 학습자들이 재미있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멋지게 디자인하신 주관 공단 박출판사에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끝으로 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오로지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열정으로 좋은 교재를 만들어 내기 위해 애써주신 집필진 모두에게 더할 나위
없는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2년 8월
저자 대표 이정희
Sejong Korean 2A
Unit 1 저는 프로그램 만드는 일을 해요.
어휘와 표현
1.
하는 일이 무엇인지 다음 과 같이 말해 보세요.
(Image shows example dialogue with a picture)
“저는 중국어를 가르쳐요, 교사예요.”
- 저는 캠핑장에서 병을 구워요.
- 저는 다른 사람의 머리를 잘라요.
- 저는 대학교에서 경영학을 공부해요.
- 저는 컴퓨터 회사에서 프로그램을 만들어요.
2.
한국어로 알고 싶은 직업이 있어요? 한국어로 알고 싶은 직업의 이름과 그 일이 무슨 일을 하는지 사전이나 인터넷 찾아 써 보세요.
| 직업 (Job) | 하는 일 (What they do) |
| 바리스타 (Barista) | 커피를 만들어요 (Makes coffee) |
3.
여러분은 어떤 직업이 좋아요? 언제부터 그 일을 하고 싶었어요?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세요.
| 나 (Me) | 친구 (Friend) | |
| 어떤 직업이 좋아요? | 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 |
| 언제부터 그 일을 하고 싶었어요? | 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 |
세종한국어 2A
01 저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을 해요.
(이)라고 하다 | -는
1. 여러분이 아는 한국어 단어를 행동이나 그림으로 보여주면서 다음과 같이 말해 보세요.
[Image of hands forming a heart]
이건 한국어로 사랑이라고 해요.
[Image of a ring]
이건 한국어로 반지라고 해요.
2. 그림을 보고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써 보세요.
[Image of people in a park with names: 유진, 주노, 재민, 마리, 수지, 민나]
- 책을 읽는 사람은 유진이에요.
세종한국어 2A
01 저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을 해요.
읽고 쓰기
나의 소개
1. 나를 소개하는 글을 쓰려고 해요. 아래 내용을 간단히 메모해 보세요.
| 이 글은 왜 써요? | 나를 소개하고 싶어요. |
| 이 글은 누가 되어요? | 우리 반 친구, 한국어 선생님이 있어요. |
| 무엇을 소개하면 좋아요? | 나의 직업(하는 일),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내가 좋아하는 음식, 내가 좋아하는 노래, 내가 잘하는 것… |
| 한국어를 모르는 단어는 뭐예요? |
2. 안나가 친구들에게 자신을 소개하는 글을 썼어요.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세요.
[Image of a girl]
안녕하세요?
나는 안나라고 해요. 저는 대학생이에요.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있어요. 제가 좋아하는 한국 음식은 떡볶이에요. 제가 좋아하는 한국 노래는 <사랑>이에요. 저는 작년부터 한국어를 배웠어요. 저는 한국어 배우기를 좋아해서 한국어를 배워요. 제가 좋아하는 배우는 이민우예요. 그 배우와 한국어로 이야기하고 싶어요. 그래서 한국어를 열심히 공부하고 있어요. 저는 이번 방학에 한국에 갈 거예요. 그래서 더 열심히 한국어를 공부할 거예요.
감사합니다.
- 누가 썼어요?
| 안나가 썼어요? | - 안나는 무슨 일을 해요?
| | - 안나가 좋아하는 음식은 뭐예요?
| | - 안나는 한국어를 왜 배워요?
| | - 안나가 좋아하는 배우는 누구예요?
| | - 안나는 이번 방학에 어디에 갈 거예요?
| | - 마지막에는 무슨 말을 썼어요?
| “감사합니다”라고 썼어요? |
세종한국어 2A
02 돈을 하거나 주말에 모임에 가요.
어휘와 표현
여가 활동
1. 주말이나 휴일에 어떤 일을 해요? 카드에 있는 그림을 보고 말해 보세요.
(5), (3), (7)쪽
- 3~4명이 한 팀을 만드세요. 그리고 선생님께 그림 카드를 받으세요.
- 그림 카드를 가운데 놓고 잘 섞으세요.
- 무엇을 하고 있어요? 한국어로 어떻게 말해요? 이야기해 보세요.
- ① 잘 말했어요? 그럼 그 카드를 가지세요. ② 틀렸어요? 그럼 다음 사람이 미야켜보세요.
- 가장 많은 카드를 가진 사람에게 모두 박수를 쳐 주세요.
2. 다음 휴일에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이에요? 그리고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이에요? 친구와 이야기해 보세요.
| 하고 싶은 일 (Things I want to do) | 해야 하는 일 (Things I have to do) |
| · 집에서 쉬고 싶어요. | · 집안일을 해야 해요. |
| · 집에서 쉬고 싶어요. | · 집안일을 해야 해요. |


